본문 바로가기
딸기와 기타 농산물

K-푸드의 비밀병기 : 딸기

by 야구좋아하는아저씨 2022. 1. 9.
반응형

달달한 맛과 풍부한 영양을 자랑하는 딸기는 전 국민의 사랑을 토대로 끝임 없는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제 딸기는 한국을 넘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K-푸드의 비밀병기인 딸기의 수출현황과 해결해야 할 남은 과제를 다뤄보겠습니다.

 

1) K-딸기의 수출 현황

아래 연도별 딸기 수출현황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해를 거듭할수록 우리 딸기의 수출량과 금액 모두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연도 수출량(t) 수출금액 (1천$)
2013 3,116.6 29,808.4
2014 3,657.0 33,374.3
2015 3,678.3 33,027.1
2016 4,125.3 34,116.0
2017 5,108.9 43,978.3
2018 4,895.2 47,511.2
2019 5,740.3 54,448.1
2020 4,823.4 53,746.9
2021 4,139.1 53,029.6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한 딸기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운송기간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유로 인해 딸기는 항상 항공편으로 수출됐습니다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급등한 항공 운임으로 인해 딸기의 수출 가격도 동반 상승하는 악재가 발생했습니다. 단가 상승이라는 커다란 방해물에도 불구하고 우리 딸기 수출은 나름 선방했습니다.

 

2020년과 2021년의 수출 현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전체 수출량은 전년대비 각 16%씩 감소했지만 수출금액은 1.3% 감소에 그쳤습니다. 비싸진 가격에도 불구하고 K-딸기는 전 세계인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2) K-딸기의 주요 수출국 

신선식품 수출은 얼마나 신선하게 수출할 것이냐가 관건입니다. 우리 농산물이 뛰어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선도유지가 받쳐주지 않으면 세계 시장 수출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운송과 보관이 까다로운 딸기는 비교적 짧은 거리로 인해 운송에 유리한 아세안에 주로 수출됩니다. 주요 수출국 TOP 5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홍콩 (32.3%)
  2. 싱가포르 (26.1%)
  3. 태국 (14.4%)
  4. 베트남 (12.1%)
  5. 말레이시아 (7.1%)

각 국가별 옆에 있는 퍼센티지는 2020년 전체 수출 딸기 중 각 국가에 수출된 딸기의 비율을 뜻합니다. 위 5개국은 20년 수출된 딸기 중 무려 92.6% 점유함으로써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발 운임 상승으로 인한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아세안 지역에서의 우리 딸기의 인기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3) 수출 활성화를 위한 남은 과제

아세안 지역에서의 우리 딸기의 꾸준한 수요는 한국 딸기가 국제적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아세안을 넘어 전 세계적인 인기를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 선도유지

앞서 언급했듯이 세계 시장 수출을 위해서는 선도유지가 필수입니다. 딸기는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할 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상태에서 보관 시) 신선도가 길어야 일주일 정도 유지되므로 선박수출은 애초에 고려대상이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주도로 각 종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1. 동시 복합 처리기
  2. 기능성 용기포장

먼저 동시 복합 처리기를 통해 딸기의 선도와 경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처리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이산화 염도 처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 25%~30% 발생하는 수출용 딸기 손실률을 5%~10% 정도로 크게 낮췄습니다. 아울러 2024년도부터 항공물류 지원비가 중단됨에 따라 선반 수출이 잦아질 거로 예상됩니다. 운송기간이 길어지는 상황을 대비해서 'MA 기능성 용기포장'이 개발됐습니다. 쉽게 말해 대기 중 공기 조절 기술로 표현이 가능하며 야자수 활성탄과 키토산을 활용함으로써 산소 농도 조절, 이산화탄소와 에틸렌 효과적인 배출 그리고 부패와 냄새를 억제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 K-푸드의 비밀병기인 딸기 수출 현황과 남은 과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하루빨리 기술이 완성되어서 아세안을 넘어 전 세계에 K-딸기가 선보이는 날이 다가오기를 기대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