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 시사 이슈

주택담보대출 관련 알아야 할 필수 용어 : LTV,DTI,DSR

by 야구좋아하는아저씨 2022. 4. 23.
반응형
'LTV, DTI, 그리고 DSR' 부동산 관련 뉴스를 볼 때마다 나오는 익숙한 단어들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계획이 있는 신혼부부들을 포함한 자가 마련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꼭 알아야 할 용어이죠. 위 용어들은 낯설게 느껴지지만 조금만 찾아보면 쉽고 간단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익숙하면서도 낯선 부동산대출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LTV (Loan To Value ratio) : 주택담보인정비율

'집 얼마인지 알려줘, 그거 보고 빌려줄게.' 

즉, 쉽게 말해 주택을 구매할 때 주택담보가치에 따른 대출금의 비율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든 아래 예시 표와 같이 LTV자체는 간단합니다. 

LTV 부동산가격 대출한도액
40% 5억원 2억원
10억원 4억원
70% 5억원 3억5천만원
10억원 7억원

LTV를 배웠으니 현재 LTV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LTV비율은 크게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 그리고 부동산 가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말로 설명하면 복잡해질 수 있으니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의 뜻과 함께 아래 표를 통해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아래 표에서 연두색 부분은 서민 및 실수요자 우대의 경우입니다.

 

  • 투기과열지구 : 정부에서 주택에 대한 투기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지역을 지정하여 관리하는 지역
  • 조정대상지역 : 주택 부양이 과열됐거나 과열될 우려가 있는 지역 등에 대해 국토부 장관이 지정하는 지역

투기과열지구LTV표
조정대상지역LTV표

 

2) DTI (Debt To Income) : 총부채상환비율

'연소득이랑 다른 대출 이자 상환액 알려줘 그거 보고 빌려줄게.'

앞서 언급한 LTV를 통해 주택을 담보로 받은 대출액을 상환 가능할 만큼의 충분한 소득을 벌어들이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DTI를 활용합니다. 

 

DTI 계산법 예를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연소득 5,000만 원
  2. DTI 50%

위와 같은 경우, 주담대 원리금과 기타 '대출이자' 상환액의 합이 2,500만 원을 넘길 경우에는 대출을 받지 못합니다.

 

DTI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DTI계산법

 

 

3) DSR (Debt Service ratio)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연소득이랑 다른 빚 알려줘, 그거 보고 빌려줄게.'

기본적으로 DTI와 비슷하지만 DTI가 다른 대출의 이자만 보는 것과 달리 DSR은 다른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포함합니다.

 

DSR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DSR계산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담보대출 핵심 용어인 LTV, DTI 그리고 DSR을 다뤄보았습니다. 가계 부채 문제가 심각한 요즘 새 정부에서 부동산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하길 기대하면서 포스팅 마무리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