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통화스와프2 한국은행의 이중성 - FIMA Repo Facility 지난 12월 31일 종료된 한미 통화스와프에 관해 한은 총재는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를 연장할 유인이 없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위 의견과 다르게 한국은행은 미 연준과 FIMA Repo Facility를 필요시 이용하기로 합의함으로써 여러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IMA 설명과 영향력을 다루겠습니다. 1) FIMA Repo Facility 정식 명칭 : Foreign and International Monetary Authorities Repo Facility 정의 : 미 연준이 외국 중앙은행 등이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를 환매조건부*로 매입하여 미 달러화 자금을 외국 중앙은행 등에 공급하는 제도 (환매조건부 : 만기일에 다시 매수(매도)하는 조건으로 채권을 매도(매수)하는 거래방.. 2022. 1. 21. 한미 통화스와프 종료 - 달러 비상금이 사라졌다 2021년 12월 31일에 한미 통화스와프가 공식적으로 종료됐습니다. 외환시장이 요동칠 때마다 소방수의 역할을 잘 해준 한미 통화스와프 종료의 관해 굳이 연장할 필요가 없다는 한은의 입장과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학계의 의견이 상충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미 통화스와프의 역할과 필요한 이유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한미 통화스와프의 개요와 역할 먼저 한미 통화스와프는 '협정 시 정한 환율 기준으로 한국의 원화를 담보로 맡기고 미국 중앙은행에서 달러를 빌릴 수 있는 협정'으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간 내에는 언제든지 원화를 담보로 맡기는 조건으로 달러를 빌릴 수 있으므로 '달러 마이너스 통장'으로도 쉽게 설명될 수 있으며 달러 확보가 수월해지는 엄청난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금융, .. 2022. 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