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딸기와 기타 농산물

겨울딸기를 대표하는 설향품종을 소개해드릴게요.

by 야구좋아하는아저씨 2021. 12. 5.
반응형

최근 날씨가 많이 추워짐에 따라 집 근처 마트에서 딸기를 흔히 볼 수 있으실 텐데요. 우리가 일반 마트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딸기는 '설향'품종인 거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 시간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익숙한 딸기인 '설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d1

산청 설향딸기

1) 설향의 시작

먼저, 설향은 국산 딸기의 위대한 첫걸음이라고 감히 단언할 수 있습니다. 눈 속에서 피어하는 향기로운 딸기란 뜻을 가지고 있는 설향은 2005년 일본 품종의 딸기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됐습니다. 설향이 개발되기 이전까지 육종 기술이 부족했던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일본 품종 딸기인 장희(아키히메), 육보(레드펄) 재배를 위해 연간 30억 원 정도의 로열티를 지불했지만 2005년 겨울철 하우스용으로 개발된 '설향'을 필두로 여러 우수한 우리 품종이 개발되면서 상황은 180도 달라졌습니다. 설향 개발 이전까지 2005년 기준 9.2% 밖에 안됐던 국내 품종 보급률이 2019년에는 무려 95.5%로 비약적으로 상승했습니다.

 

국산 딸기는 맛과 품질 모든 면에서 일본 품종을 능가했고 이러한 우수성은 소비자들에게 인정받아 현재는 국내 딸기농가의 95% 이상이 국산 딸기 품종을 재배 중입니다.

 

2) 설향의 특징

설향은 과실이 크고 당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신맛까지 적절하게 어우러져 새콤달콤한 맛을 자랑합니다. 설향의 평균 당도는 10 ºBx로 콜라와 비슷합니다. 과즙이 풍부하고 청량감이 뛰어나기에 대중적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재배가 쉽고 생육이 왕성해 다른 품종보다 비교적 빠르게 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흰 가루병에 강하기 때문에 국내 재배면적의 87%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생산량을 자랑합니다.

 

장정이 있으면 단점도 있듯이 설향에게도 단점은 존재합니다. 재배가 비교적 간편하지만 낮은 저장성으로 인해 '콜드 체인'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신선도가 굉장히 빨리 저하됩니다. 아울러 과육이 약하기 때문에 사람 손 체온 등 조그마한 열과 충격에도 쉽게 손상됩니다. 그 결과 수출에는 제약이 많은 품종입니다.

 

 

겨울철 주변에서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설향딸기의 기원과 중요 특징을 알아보았습니다. 12월에 제일 맛이 있는 설향과 함께 새콤달콤한 겨울을 보내시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댓글